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글마당] 우울하고 힘들 때

A 트레인 Dyckman St 정류장에서 내려 조금 가면 포트 트라이언 파크 안에 The Met Cloister 뮤지엄이 있다. 허드슨강이 내려다보이는 중세기 유럽 수도원의 건축물과 정원 분위기가 좋아 즐겨 찾는다. 북클럽 회원들과 함께 갔다. 우리는 뮤지엄을 둘러보고 잔디밭에 부회장이 준비해 온 도시락, 수박, 커피, 마들렌, 베이커리를 꺼내 놨다. 친구의 며느리가 창업한 마쿠(Makku) 막걸리를  반주겸 건배했다. 달지도 텁텁하지도 않은 깔끔하고 톡 쏘는 시원한 맛이다. 소풍 온 아이들도 둘러앉아 점심을 먹고 있었다. 어릴 때 소풍 가면 풀밭에 선생님들이 모여 앉아 식사하는 것을 기웃거렸던 기억이 났다. 선생님들의 도시락 반찬과 비슷한 우리들의 도시락은 불고기, 돼지고기, 명태 코다리, 연근과 멸치조림, 무와 시금치나물이다.     내가 부회장이었다면 김밥과 물 한 병씩 던져주고 말았을 텐데. 역시나 모임을 리드하는 사람들은 남다른 리더십이 있다. 맛있는 도시락을 찾아 여러 곳에 둘러 맛보고 제일 맛있는 가게에서 사 왔단다. 잘 익은 수박을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 왔다. 회장과 부회장이 리드하는 대로 잘 따라 하는 것이 나의 의무라며 잘 먹고 즐기고 집으로 향했다.     Dyckman스트리트에서였다. 그 동네가 생소한 우리는 4학년(40세) 회원을 따라 정류장을 찾아가는 중이었다. 참고로 우리 북클럽엔 4학년(40세)부터 7학년(70세)까지 있다. 덩치가 큰 허연 남자가 우리를 불러세웠다. “영어 할 줄 알아?” 시골에서 온 관광객이 길을 물어보는 줄 알았다. 영어를 할 줄 안다고 해도 그 동네를 잘 모르는 우리는 길을 가르쳐 줄 상황이 아니다. 우리 넷은 아무 말 못 하고 멍하니 그 남자 얼굴을 쳐다봤다. “어디서 왔어? 아시아에서 왔어?” 길을 물어보는 태도가 영 아니다. 그와 제일 가까운 곳에 서 있던 내가 “웨스트 엔드 에비뉴에서 왔다.” 왜 그러는데 하는 표정으로 내가 사는 동네를 말했다. 서로가 잠시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바보같이 쳐다보다가 우리는 자리를 떴다.     이번 달 들어 두 번이나 길 가던 남자가 말을 걸었다. 팬데믹 동안 사람들을 만나지 못한 수다를 풀고 싶어 하는 외로운 사람들이 많아서일까? 그동안 없던 일이 연이어 발생하자 이상해서 길에서 여자들에게 접근하는 남자들의 심리를 유튜브에서 찾아봤다.     ‘그룹으로 있는 여자들 말고 혼자 있는 여자에게 자신감을 가지고 쿨하게 다가가라. 매력적으로 보이기 위해 단정하고 깔끔한 차림으로 접근하라. 이치에 맞는 편안한 대화를 이어가며 자연스럽게 상대방의 스타일과 패션을 칭찬해라. 거절당하면 당황해서 몰아붙이지 말고 쿨하게 자리를 떠라.’ 이렇게 여러 번 연습하다 보면 성공할 확률은 점점 커진다. 싱글이라면 화창한 날 집에 웅크리고 앉아 우울증에 걸리지 말고 연습해 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자기 행복을 찾아서. 이수임 / 화가·맨해튼글마당 우울 도시락 수박 도시락 반찬 북클럽 회원들

2023-06-30

[글마당] 뜻밖의 선물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떻게 살다 가고 싶은가?’라는 질문을 이따금 자신에게 한다.     답변을 찾기 위해 책을 읽는다. 한 귀로 듣고 다른 한 귀로 빠져나가는 내 머릿속에 책에서 읽은 지식이 남아있을 리 없다. 사람들과 이야기할 때마다 기억나지 않는 지식을 표현할 수 없어 불편하다. 굳이 말할 필요도 느끼지 않지만.     다행히도 요즈음은 색바랜 오래된 사진처럼 희미해져 가는 기억을 구글링하면 볼 수 있다. 그래도 많은 시간을 들여 책을 읽었는데 뭔가는 얻어야 하지 않을까?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골똘히 생각하다가 작가의 지혜를 내 생활에 오버랩시켜 응용하곤 한다. 그럴 때마다 꽤 삶이 재미있고 즐겁다.     책에 빠져 아이들을 제대로 돌보지 않으면 일생을 후회할 것 같아서 한동안 책과의 거리가 멀어졌었다. 아이들이 크고 난 후 책을 읽으려 했지만 무슨 책을 읽어야 할지 몰라 동네 도서실 북클럽을 기웃거리며 방황했다. 영어로 주절대는 노인들의 독후감을 듣는 것도 짜증이 날 즈음 한국말로 하는 북클럽에 들어갔다. 한국말은 버벅대던 영어로 마지못해 참석하며 축 늘어졌던 나를 짜릿짜릿 쑤셨댔다.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인지도’로 시작하는 카뮈 소설 ‘이방인’ 첫 문장이 나를 쳤다. 평생 아파서 병원을 들락거리던 엄마가 곧 죽을 것이라는 불안감은 사형수가 죽을 날을 받아 놓고 기다리듯 늘 가슴 한편에 웅크리고 나를 짓눌렸었다. 유학 시절 엄마의 죽음을 안 것은 돌아가신 지 두 달 후였다. 아픔을 기억하고 표현하기 두려워 파묻어 버리고 모른 채 방황했던 나는 이방인 책에서 굳이 엄마의 죽음을 변명하려 하지 않는 주인공 뫼르소에게 빠졌다.     카뮈의 단편 ‘손님’에서도 황량한 광야에서 점보다 작은 살인자와 그 살인자를 죽음 아니면 삶으로 인도해야 하는 주인공의 갈등은 하루도 안 되는 동안 일어난 일이다. 그러나 나에게는 그들 스스로 옳은 길을 찾으려는 고통의 시간이 왜 그리 몇 갑년이 지난 듯 길게 느껴졌는지?     북클럽 회원들과 머리 맞대고 책이나 적당히 읽어야지 했다. 하지만, 늪에 빠지듯 책에 빠져든다. 나 혼자라면 그 많은 책 중에 어떤 것을 읽어야 할지 몰라 헤맬 텐데, 북클럽을 이끄는 회장님은 강사를 초대해 읽을 책을 정리 정돈해서 밥상을 차려주는 식이다. 나는 수저를 들고 잘 먹고 건강하게 내일에 몰두하면 된다.     인생에서 만남은 매우 중요하다. 인간의 행복과 불행은 만남으로 결정된다.   북클럽의 회장님, 서로 주고받고 밀고 당기며 성장하는 회원님들 그리고 강사님들과의 만남은 기대하지 않았던 뜻밖의 선물이다. 나는 한 달에 한 번 북클럽에서 선물을 풀고 새로운 세상에 눈을 떠 삶에 응용한다. 그리고 또 다른 신세계를 볼 수 있는 다음 달 북클럽을 기다리며 마음을 설렌다. 이수임 / 화가·맨해튼글마당 뜻밖 선물 북클럽 회원들 오늘 엄마 카뮈 소설

2022-09-0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